핵심 개념

아래에 포함된 핵심 용어들은 미국 내 학습자 커뮤니티의 통찰을 바탕으로 작성한 것으로, 이는 해당 논의의 최종 목적지가 아닌 대화의 시작점입니다. 따라서 영어의 의미적 한계로 인해 용어 및 개념의 확장성이 충분히 전달되지 못할 수도 있으며, 다른 사회 및 문화적 맥락에서는 특정 용어가 다른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습니다. 피드백이 있으시다면, partnerinclusion@netflix.com으로 이메일을 보내주세요.
문화적 유능성(Cultural Competence)
개인의 문화적 유능성이란, 각 문화를 잇는 공통점을 인식하고 동시에 문화적 차이점에 맞춰 행동을 바꾸는 능력입니다. 문화적 유능성이 뛰어난 회사는 다름을 골치 아픈 문제가 아닌 회사의 자산으로 여기며, 다양한 문화와 배경을 이해하고, 이를 회사의 비전, 미션, 문화, 정책의 수립 및 실행에 반영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다양성(Diversity)
개인의 다양성은 여러 문화와 경험, 정체성(Identity) 등을 복합적으로 의미합니다. 다양한 정체성과 문화, 경험이 모여 한 사람을 구성하는 만큼, 모든 인간은 다양성을 지닙니다. 회사에서 다양성을 인정한다는 것은 어떤 측면의 다양성이 존재하는지, 그리고 어떤 부문이 현재 수적으로 과소대표되어 있는지(underrepresented)를 확인하고 분석하는 것입니다.
공감(Empathy)
공감은 다른 사람의 상황 혹은 맥락에서 그 사람이 경험한 일을 이해하고 감정을 느낄 수 있는 능력입니다. 즉, 다른 사람에게 이입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관계를 구축하고 이해를 바탕으로 행동하기 위해서는 공감 능력을 기르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영상: 브레네 브라운이 말하는 공감(앨라이에겐 공감이 필수죠!)
평등(Equity)
평등은 모두에게 정당하고, 공정하고, 공평한 기회를 부여하는 데 필요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것입니다. 진정한 평등을 이루기 위해서는 오랫동안 이어지는 소외와 편견에서 파생되는 문제에 집중하고, 불평등을 조장하는 시스템의 내적 요소들을 고치기 위한 행동을 취해야 합니다.
포용성(Inclusion)
포용성은 다양한 배경과 문화적 경험을 가진 사람들이 기대(Expected), 반영(Reflected), 존중(Respected)의 감정을 느끼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입니다. 또한 포용성은 차이점을 인지하고,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것으로, 모두가 똑같이 존재하고 생각하고 행동할 것을 주장하는 대신 상호 적응(mutually adaptive)을 통해 서로의 차이점을 뛰어넘어 교감할 수 있습니다.
교차성(Intersectionality)
우리는 모두 여러 정체성(identity)을 지니며, 각 정체성은 우리가 스스로를 바라보는 관점 및 타인이 나를 바라보는 관점에 영향을 미칩니다. 교차성은 편견 및 특권 문제에는 여러 정체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이러한 문제들이 누적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을 인지하는 개념입니다.
소외(Marginalization)
개인 또는 집단이 고려, 존중, 중요 대상에서 제외되거나 밀려나는 것을 의미하며, 포용성에 반대되는 개념입니다.
일상적인 차별(Microaggressions), 일상적인 불평등(Micro-inequities) 및 페이퍼 컷(Paper Cuts)
사회적으로 소외된 소수 인종 혹은 민족 집단의 구성원을 향한 간접적이고, 미묘하며, 의도적이지 않은 차별적 언행 또는 상황을 의미하는 개념입니다. 이러한 행동은 무의식적인 편견에서 파생될 수도 있습니다.
소수자 집단 및 특권 집단(One-Down and One-Up Groups)
소수자 집단 및 특권 집단은 민족, 국적, 종교, 지역, 연령, 성별, 정체성, 성적 지향, 겉모습, 사회경제적 계층, 신체 및 인지 능력 등의 요인을 바탕으로 구분되는 특정 사회 집단이 역사적으로 열등하거나 부족하다고 간주되거나(소수자 집단) 우월하고 뛰어나다고 간주되는(특권 집단) 것을 의미합니다.
특권 또는 노력 없이 주어진 이점(Privilege or Unearned Advantage)
개인의 자질과는 상관없이 특정 사회적 집단에 속해 있다는 정체성만으로 개인이 얻게 되는 신뢰를 의미합니다. 각 집단의 구성원들이 얻게 되는 특권은 대부분 특정 집단이 우월하거나 열등하다는 아주 오래된 잘못된 편견에서 기인합니다.
연대(Solidarity)
연대는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평등과 공정함의 성취를 방해하는 모든 장애물을 없애는 것입니다. 연대를 위해 행동하려면 현 상황을 바꾸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사려 깊은 질문을 던질 줄 알아야 합니다. 이는 기존 사회의 운영 방식이 소수자 집단의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는 생각, 가치 또는 믿음을 공고화하는 것을 막기 위함입니다.
무의식적 편견(Unconscious Bias)
내재된 사회 인지(implicit social cognition)라고도 표현하는 무의식적 편견은 무의식적으로 우리의 이해, 행동,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태도 또는 고정 관념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편견은 긍정적인고 부정적인 평가를 모두 포함하며, 우리가 인지하거나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 비자발적으로 활성화됩니다.
진정성의 반영(Authentic Representation): 개인의 경험, 정체성, 배경을 바탕으로 크리에이티브의 제작 과정 및 프로덕트에 진정성을 더합니다.